식품산업이 최근 많이 주목받고 있다. 온라인의 발달, 배달시장의 성장과 함께 코로나로 인하여 집합금지로 식당이 어려워지고…. 정말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식품산업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그 방법은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일단 식품산업의 가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간략히 보도록 하겠다

                                                            [ 식품산업 가치 구성요소 ]

 

일단 식품산업의 제품의 가치는 맛과 양, 그리고 제품의 브랜드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똑 같은 맛이라도 양과 브랜드에 따라서 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맛이라는 것은 식재료가 얼마나 신선한가? 어떻게 배합을 하는가? 그리고 어떤 소스를 쓰느냐에 결정되지만 조리방법도 가치를 결정한다. 반제품으로 되어 있어서 직접 조리해야 하는가? 아니면 전자레인지에 넣어서 간단히 조리할 수 있느냐? 에 따라서도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

똑 같은 레서피 이지만 그것을 공장에서 만들어서 소비자는 간단히 조리하면 되는 것인가? 아니면 그 조리 과정을 소비자에게 전가해서 소비자가 직접 조리하게 하느냐? 에 따라서 제품의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이 맛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자세히 보면 차별성을 가져갈 수 있는, 말 그대로 쉽게 복제하기 어려운 것이 하나 있다. 그것은 소스이다. 식재료는 변동성이 크다. 예를 들어 매일 공급받는 식재료가 일정한 품질을 가지고 가기는 어렵다. 변동성이 크고 생산자가 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레서피는 복사가 가능하다. 조리방법도 특이하게 만들기 어렵다.

그런데 소스는 복제하기 어렵다. 어찌보면 이 맛이라는 요소에서 차별성을 가져갈 수 있는 요소는 소스가 가장 중요하다고 볼수도 있다.

 

식품산업에 대한 가치 구성요소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고 사람에 따라 다른 관점에서 다르게 분석할 수 있다. 이게 정답이라는 것은 없다. 상황에 따라 다양한 분석 방법과 분석 관점을 가져가야 한다.

 

일단 현재의 틀을 기준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분석해보자.

만약 CJ가 대량 생산이 아닌 명품 시장에 진입한다면 어떨까? 과연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까? 그리고 가장 중요한 수익성을 가져갈 수 있고, 그 수익성이 그 기업에 필요한 규모를 가져갈 수 있을까? 혹은 포지션을 대량생산에서 명품으로 옮겨가는 것이 바람직할까?

위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또다른 분석방법과 관점이 필요하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한가지 방식과 한가지 프레임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고 덤벼드는 그런 일은 하지말라는 것이다. 하류의 컨설턴트들이 그런 실수를 많이 하고 나도 일하면서 그런 사람들을 많이 봐왔기에 이야기 한다

'My Opin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했던 방식으로부터의 변화  (1) 2024.02.17
플랫폼과 구독경제  (2) 2021.11.15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하여  (0) 2021.03.03
경영을 위한 두가지 측면  (0) 2017.04.09
문제를 해결하자  (0) 2017.01.27
Posted by 오늘보다나은내일
,